개발하면서 Xcode를 수 없이 들여다보지만, 정작 Xcode의 영역의 정확한 명칭은 잘 모르고 쓴다.
(마치, 귤의 흰 부분이 귤락이라는 걸 모르고 그냥 '흰 부분'이라고만 부르는 것처럼)
<Xcode의 영역>
UIKit 기준으로 Xcode의 영역을 크게 7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.
- 툴바
- 네비게이터
- 인스펙터
- 인터페이스 빌더
- 도큐먼트 아웃라인
- 어시스턴트
- 에디터
- 디버그
<툴바 영역>
Xcode 최상단 부분에 있는 영역(좌측부터)
- 네비게이터 영역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버튼
- 단축키: cmd + 0
- 현재 설정한 scheme를 설정한 시뮬레이터 혹은 디바이스로 빌드 / 중지할 수 있는 버튼
- 단축키: cmd + R(빌드) / cmd + .(중지)
- scheme와 시뮬레이터 혹은 디바이스를 설정할 하고 빌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액티비티 인디케이터
- 단축키: ctrl + 0(scheme 메뉴 열기) / cmd + shift + ,(scheme 수정) / ctrl + shift + 0(Destination 메뉴 열기)
- 위 사진과 같은 Library 창을 열 수 있는 버튼
- 단축키: cmd + shift + L
- 인스펙터 영역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버튼
- 단축키: opt + cmd + 0
<네비게이터 영역>
Xcode의 좌측에 있는 영역(좌측 탭부터)
- 프로젝트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첫번째 탭으로 파일들을 계층적으로 볼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1)
- 소스 컨트롤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두번째 탭으로 프로젝트의 소스들에 대한 형상 관리를 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2)
- 북마크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세번째 탭으로 북마크한 파일이나 코드 라인을 확인 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3)
- Xcode 15에서 Symbol에서 Bookmark 탭으로 바뀌었다.
- 검색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네번째 탭으로 프로젝트 혹은 프로젝트에 추가한 패키지에서 원하는 내용을 검색해서 찾아볼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4)
- 이슈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다섯번째 탭으로 컴파일 혹은 런타임에 발생한 경고나 에러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5)
- 테스트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여섯번째 탭으로 프로젝트 테스트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6)
- 디버그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일곱번째 탭으로 런타임 중에 발생하는 오류나 브레이크포인트에 대한 정보나 실시간 정보(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등)를 확인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7)
- 브레이크포인트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여덟번째 탭으로 설장한 브레이크포인트를 모아서 보고 관리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8)
- 리포트 네비게이터 탭: 네비게이터 영역의 아홉번째 탭으로 빌드나 테스트 등 실행의 결과에 대한 로그나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. (단축키: cmd + 9)
<인스펙터 영역>
Xcode의 우측에 있는 영역
선택한 파일의 종류(ex. .storyboard, .swift)에 따라 보이는 속성들(탭들)이 달라진다.
- 인스펙터 영역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버튼
- 단축키: opt + cmd + 0
- 파일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(단축키: opt + cmd + 1)
- 히스토리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 대한 형상 관리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.(단축키: opt + cmd + 2)
- 퀵 헬프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서 선택한 요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.(단축키: opt + cmd + 3)
- 아이덴티티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서 선택한 요소에 대한 클래스명, 스토리보드 ID 등을 확인할 수 있다.(스토리보드 전용)(단축키: opt + cmd + 4)
- 어트리뷰트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서 선택한 요소에 대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.(스토리보드 전용)(단축키: opt + cmd + 5)
- 사이즈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서 선택한 요소에 대한 위치, 크기,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.(스토리보드 전용)(단축키: opt + cmd + 6)
- 커넥션 인스펙터 탭: 선택한 파일에서 선택한 요소에 대한 IBOutlet, IBAction 연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.(스토리보드 전용)(단축키: opt + cmd + 7)
<인터페이스 빌더>
스토리보드 확장자의 파일을 선택했을 때, 에디터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화면
- 도큐먼트 아웃라인: 인터페이스 빌더에서 UI 요소들을 계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패널
- 어시스턴트: 인터페이스 빌더에서 선택한 요소와 관련된 코드를 보여주는 패널(단축키: ctrl + opt + cmd + return)
<에디터 영역>
선택한 파일에 맞게 인터페이스 빌더, 코드 편집기, 파일 설정 화면 등이 열리는 화면
- 우측(하단)에 에디터 영역 추가 단축키: ctrl + cmd + T
- 에디터 영역 추가되는 방향 바꿔서(우측 <-> 하단) 추가하기 단축키: ctrl + opt + cmd + T
- 한 번 바꿔서 생성한 이후에는 ctrl + cmd + T로 생성 시, 바뀐 방향으로만 생성된다.
- 에디터 영역 간 포커스 이동: ctrl + ~
<디버그 영역>
디버깅할 때, 변수를 출력하거나 콘솔 출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
변수 창(프로젝트 내의 모든 브레이크 포인트 활성화/비활성화 하거나, 브레이크 포인트에 대한 변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)과
콘솔 창(LLDB 명령어로 디버깅하거나, print()와 구분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는)으로 이루어져 있다.
- 디버그 영역 여닫기 단축키: cmd + shift + Y
- 디버그 영역의 콘솔 창 여닫기 단축키: cmd + shift + C
- 프로젝트 내의 브레이크 포인트를 활성화/비활성화 단축키: cmd + Y
- 콘솔 창 지우기: cmd + K
반응형
'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나도 만들게 해줘': SwiftUI @ViewBuilder (0) | 2025.04.16 |
---|---|
'너의 목적지는.': Supported Destinations (0) | 2024.12.31 |